DB2H
Relation #10

도시 위에 부유하는 소통의 섬

대구은행 제2본점

 

 

 

 

 

도시 한복판, 거대한 입방체 하나가 부유하는 섬처럼 눈길을 끈다. 입방체는 반투명한 은백색을 띠고 있어 그리 무겁게 다가오지 않는다.

이 입방체는 대구 시내의 공공, 문화, 경제, 주거의 중심에 자리했다. 네 갈래로 뻗은 주변 보행로는 모두 대지 안으로 연장되는 태도를 취한다는 점에서 지역 사회와의 소통과 교류를 위한 공간 질서를 구축한다. 길과 매스 사이에 놓인 여러 건축적 장치들 또한 이 질서를 따른다. 마당, 담, 선큰, 데크, 수공간 등은 매스 내외부와 서로 유기적으로 관입되는 형식을 갖춘다. 

 

 

 

 

 

 

 

 

 

매스 형태, 공간 조직, 내외부 간의 관계 설정은 주어진 물리적 조건을 적극 활용하거나 상황에 맞게 유도되었다. 이는 공공과 민간, 지역 사회와 기업, 도시와 건축의 접점을 만드는 소통의 가치에 주력한 결과다. 네 채로 나뉜 매스는 분절을 통해 각 문화 기능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프로그램 단위로 재해석된 포디움으로 매스 간의 관계성을 높인다. 입방체 내부에 배치된 업무 공간은 문화 공간과 분리되면서도 아트리움의 보이드 공간으로 물리적인 소통과 교류를 꾀한다. 업무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로 팀과 개인 간의 내부 소통을 위한 조닝, 워크스테이션 배치 등 세부적인 개념으로 이루어졌다.

 

 

 

 

대구은행 제2본점의 계획 대지를 포함한 인근 지역은 과거 제일모직과 대한방직이 있던 위치다. 
섬유산업을 기반으로 대구 지역의 경제적 발전을 이끌었던 이 기억의 장소는 이후 산업 구조의 변혁으로 오랫동안 비어있었으나 최근 옛 제일모직 부지에 대구창조경제혁신단지가 들어섰고, 대한방직 부지에는 대구은행 제2본점이 문화 복합 금융 사옥 개념으로 세워졌다. 경제와 문화가 함께 성장하는 도시재생을 꾀한 것이다. 
은행의 본부, 본점으로서의 장소는 업무 공간이라는 기능적 요구와 더불어 기업의 가치, 철학, 역사, 비전 등을 담아내야 한다. 부족한 업무 공간을 확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례적으로 많은 면적을 할당해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한 것은 결국 도심에 새로운 문화적 중심 공간을 창출해 지역 사회에 공헌하며 상생하는 기업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시도이다. 소통과 상생이라는 철학은 대구은행이라는 기업의 역사와 비전을 대변하며, 대구 북구 도시 공간 재생을 위한 근본 가치이기도 하다.

 

 

 

 

 

대지를 관통하는 장소성, 근현대 산업사 변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시 공간과 관계 맺으며 과거의 기억 위에 현재의 도전을, 도시적 요구와 기업 철학 사이 접점을 일구려는 시도. 대구은행 제2본점이 대구 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시발점이 되리라 기대한다. 

 

 

 

 

 

 

건축주: DBG 대구은행
위치: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
설계팀: 우소영(TL), 이명진, 정재선, 김동관, 이우미, 임상우, 문홍국, 김현기, 이정현, 정수희, 김효중
설계기간: 2012.7~2013.10 / 시공기간: 2013.12~2016.4 / 완공: 2016
CM: 정림씨엠건축사사무소 / 전용빈(단장), 홍성국, 박종권, 손병찬, 유희동, 이상원, 이형남
사진: 윤준환
기사 제공: C3KOREA
편집: 정림 콘텐츠실

 

 

 

작품 개요 보기

 

 

맨 위로 이동